본문 바로가기
세법회계 part

비영업대금의 이익 원천신고방법

by 코난S 2021. 2. 3.
반응형

 

오늘은 이자소득지급명세서를 정리하다가 특이한(?) 실무 케이스가 있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비영업대금의 이익이란 무엇인가?

홈택스 용어사전을 살펴볼게요.

 

쉽게 말하자면 은행처럼 금전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주체(법인 or 개인) 금전을 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과세방법]


돈을 빌린 사람이 이자를 지급하는 경우 이자금액의 소득세(25%)와 지방소득세(2.5%)를 다음 달 10일까지
원천 신고합니다.

 

여기서 궁금증이 발생합니다.

 

법인이 이자를 지급하는 주체라면 원천세 신고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근데 개인이 이자를
지급하면 애매해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죠.

 

그렇다면 법인이 개인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수취할 시 어떻게 "원천대리신고"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영업대금의 이익 원천신고(법인이 개인에게 대여 시)]


원천징수 의무자는 지급 시점에 원천징수를 해야 합니다.


근데 의무자가 "개인"인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위 법인세법에 파란 박스 73조 4항을 보시면
원천징수의무자를 대리할 수 있다고 되어있습니다.

 

즉 법인에서 개인이 법인에게 지급한 이자를 대리 신고하여 원천납부를 해야 합니다.

 

먼저 일반전표 분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비영업대금의 이익 원천대리신고 시 일반전표 입력방법]

 

개인은 법인에 이자를 지급할 때 원천징수 전 금액(소득세 지방소득세 27.5%를 공제하기 전 금액)으로 입금을
받고 법인은 선납세금과 예수금을 동시에 잡습니다.

 

선납세금은 법인결산 시 선납한 세금이 될 테고 예수금은 원천세 신고대리에 따라 신고 납부해야 할
금액입니다.

 

 

자 다음은 이자 배당소득자료 입력 화면입니다.

 

[비영업대금의 이익 원천대리신고 시 이자배당소득자료 입력방법]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소득자명"은 신고를 대리해주는 회사(이자를 받는 법인)가 됩니다.
지급하는 개인을 입력하는 게 아니에요!!!!


반드시 기타(이자배당)소득자 입력에서 대리신고해주는 법인의 정보로 신고 진행하셔야 합니다.

 

 


원천세 신고를 수입시기에 맞춰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천세 가산세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https://taxmonster.tistory.com/11

 

원천징수 세율, 원천세 가산세

가산세 2번째 시간! 원천징수 세율과 원천세 신고 가산세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각 소득의 원천징수 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천징수 세율] [원천세 가산세] 앞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와

taxmonster.tistory.com

 

참고로 법인세법 97조에 의거 원천징수세액이 1천 원 미만인 경우 법인세를 징수하지 않습니다.
기타 다른 소득의 소액부 징수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taxmonster.tistory.com/19

 

소액부징수(일용직 세금, 아르바이트 세금)

아는 지인이 자영업을 한다고 해서 일용직 소액부징수를 살펴보다 전체적으로 한번 찾아보게되서 포스팅합니다. ■ 소액부징수란? -간단히 얘기하면 소득에 세율을 곱한 값이(납부해야 할 세금

taxmonster.tistory.com

 

자 오늘은 비영업대금의 이익 법인이 개인으로부터 받는 경우의 원천세 신고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요즘 결산에 연말정산에 정신없어서 자주 포스팅을 못하네요 ㅠ.ㅠ

좋은 정보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모두 파이팅합시다!

BYe BYe.

반응형

'세법회계 p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존 스마트A 단축키  (2) 2021.02.10
접대비 한도(적격증빙없는 접대비 3만원)  (0) 2021.02.03
현금배당 회계처리  (1) 2021.01.26
2월의 세무일정  (3) 2021.01.25
간이과세배제  (0) 2021.01.19

댓글